전동휠체어 거리충전소 늘어난다

본문 바로가기
복지뉴스
커뮤니티
> 커뮤니티 > 복지뉴스
복지뉴스

전동휠체어 거리충전소 늘어난다

최고관리자 0 481

전동휠체어 거리충전소 늘어난다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전동휠체어가 갈 수 있는 거리가 짧아 불안한 마음으로 초조해 한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한 번 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8시간 정도이니 사람의 평균 수면처럼 전동휠체어도 잠을 자는 것과 같다. 
그리고 거리에 나서면 불과 몇 킬로미터 이상을 가지 못한다.

출근을 한다면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해서 이동을 하고, 전철역이나 주차장, 정류장 등에서 목적지까지 이동을 하고, 
화장실에 가거나 사무실 등에서도 움직여야 하는 거리를 합산하면 상당한 거리가 된다. 
사무실에서 책상 앞에 바로 앉거나, 옆 테이블의 물건을 집는 등 가만히 앉아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 
휠체어 동작 버튼을 계속 누르게 된다.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업무를 보는 사람들이 별로 움직이지 않고 사무실에서 업무만 본 것 같으나, 
하루 걸음 수를 앱에서 확인해 보면 상당함을 알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니 배터리 용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는 무사히 집에 귀가할 수 있을지 불안하다.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것도 거추장스러운 일인데, 보조 배터리까지 들고 다녀야 하니 늘 휠체어에 걸어 둔 가방은 무겁다. 
지하철 역사에서 거주지까지의 거리가 멀어 휠체어를 타고 귀가하는 거리가 먼 경우에는 사무실에서도 충전을 해야 한다. 
시티투어를 하는 등의 여행길에서는 여정을 배터리 용량을 감안하여 짜야 한다. 
휠체어 이동거리를 4킬로미터 이내로 조정해야 하는 것이다. 거리에서 전동휠체어가 방전되면 정말 난감하다.
휠체어로 국토순례를 하는 경우, 중간중간에 계속 보조 배터리를 교체해 가며 이동해야 하고, 
거리 중간에서 휠체어가 멈추면 특장차를 불러 휠체어를 싣고 일행의 집결지로 이동해야 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집이나 사무실이 아닌 거리에서도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주)포인테크와 (사)장애인인권센터는 
지난 3일 오전 11시 30분 장애인인권센터 회의실에서 만나 장애인용 전동휠체어 무료충전 서비스 업무협약을 맺었다.
인테크는 전동킥보드 주차와 충전을 사업으로 하고 있는 업체다. 
거리에는 전동킥보드가 무질서하게 주차되어 있어 서울시에서는 일반 불법주차와 같이 견인 단속을 하고 있는데, 
연간 13만대가 견인되었고, 이는 일일 평균 170대 정도가 견인된 것이다. 
10분당 불법주차 신고 건수가 80건에 이른다.
견인된 경우 4만원에서 5만원의 과태료를 납부하고 견인된 킥보드를 찾아오는 데에 자동차와 동일한 견인료라는 추가적 비용이 든다. 
요즘은 자동차보다는 작고 가벼워 견인이 용이해서 인지 자동차보다 주로 킥보드를 견인하며 단속을 벌이는 것 같다. 
시각장애인들은 점자블록 위에 킥보드가 놓여 있어 차별금지법 위반으로 진정한 사례만도 수십 건이 넘고 있다. 
그런데도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포인테크는 킥보드의 차주가 자신의 키보드를 타인이 가져가지 못하도록 하고, 허가된 곳에 주차를 하기 위해 식별방식이 필요한데,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어 TSID(가변암호 식별코드)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다른 개인정보 입력이나 확인 없이 지문인식만으로 주차등록이나 결제가 가능하다. 
지문은 생체인식정보이지만 그 정보가 서버에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스마트폰에서 본인인지 확인만 하고 확인된 확인코드(YES)만 전송되므로 안전한 본인확인 방식이다. 
(주)TSID 대표가 포인테크와 장애인인권센터에 다리를 놓아 업무협약을 제안한 이유도 이러한 업무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킥보드는 리튬 배터리로 가정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높고, 
일정 공간에 주차하도록 하거나 제한 속도를 정하는 등 지자체별로 PM(개인용 이동장치)에 관한 조례를 정하고 있다. 
포인테크는 10여 종의 킥보드 기종과 무관하게 안전하게 충전이 가능한 주차 스테이션을 개발하였고, 
근거리 스테이션 위치와 자신의 이동기기에 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했다.

주차 스테이션을 설치할 경우, 일정 공간 점유가 필요하고, 주차와 충전에 요금을 징수하는 사업을 할 경우 허가도 받아야 한다. 
하지만 현행법에서는 이러한 사업의 허가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 
그래서 포인테크에서는 정부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사업으로 지정을 받아 지자체로부터 허가를 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홍기원 의원이 2020년 9월 17일 대표발의한 ‘개인형 이동수단의 관리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전동킥보드법)’이 소관 상임위를 통과한 상태다.

현재 포인테크의 SU:M 스테이션은 인천이 먼저 설치되어 있는데, 인하대역, 만수역, 검암역, 연수역 등에 설치되어 있다. 
앞으로 강남을 선두로 하여 서울 전역에도 설치가 될 것이고, 경기도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 되어 갈 것이다.
베트남에서도 설치가 추진되고 있다. 
주택가, 버스 정류장 부근, 지하철 역사 부근, 밀집 사무공간 구역 등에 촘촘하게 설치가 되고 나면 
전동킥보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편리한 혜택이 제공될 것이다. 
그리고 킥보드와 대중교통을 연계하는 경우 환승할인제도 도입될 전망이다. 
킥보드는 위험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친환경 이동수단이 될 것이다.

장애인인권센터와의 협약 내용은 앞으로 스테이션을 설치할 경우 
장애인 전동휠체어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만들어 장애인에게는 무상으로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급속 충전의 경우 완전 충전을 위해서는 3시간 정도가 걸리지만, 
어느 정도의 충전을 하면 거리에서 몇 시간을 보내지 않아도 되면서 방전으로 인한 거리에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은 해결될 것이다. 
그리고 충전 스테이션을 연결하면 이동수단으로 전동휠체어만으로 시티투어도 가능해진다.

무료 전동휠체어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스테이션의 광고판을 이용하여 장애인인식개선 광고를 하는 방안도 협의가 있었고, 
스테이션 관리와 이용자의 사용안내 등에 장애인 일자리사업과 연계하여 장애인의 소득보장을 개발해 나가는 방안도 협의됐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칼럼니스트 서인환 rtech@chol.com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0 Comments
제목